又問 孔子以公冶長不及南容 故以兄之子妻南容 以己之子妻公冶長
何也 曰 此亦以己之私心看聖人也 凡人避嫌者 皆內不足也 聖人自至 公 何更避嫌 凡嫁女各量其才美求配 或兄之子不甚美 必擇其相稱者
爲之配 己之子美 必擇其才美者爲之配 豈更避嫌耶
----또 묻기를 "공자께서 공야장(公冶長)이 남용(南容)에 미치지 못하
므로 형의 딸을 남용에게 시집 보내고 자기의 딸을 공야장에게 시
집보냈다고 하였는데 어떻게 된 것입니까?" 하니 말하기를"이것
또한 자기의 사심으로써 성인을 보고 있는 것이다.무릇 사람들은
의심을 받지 않을까 하고 피하는 것은 모두 내심의 수양이 부족한
것이다.성인은 스스로 지극히 공평하므로 어찌 혐의를 피하겠는가
대체로 딸을 시집보내는 데는 각기 그 자질에 따라 배필을 구해야
한다.혹은 형의 딸이 매우 아름답지 못하면 반드시 어울릴 수 있는
상대를 골라서 배필로 삼고, 자기 딸이 아름다우면 반드시 재주가
있고 잘난 자를 골라서 배필로 삼아야 할 것이다. 어찌 혐의를 피
하겠는가.
***피혐(避嫌)-의심을 피하는 것.
'근사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所比得元永貞.... (0) | 2017.07.28 |
---|---|
君子之需... (0) | 2017.07.22 |
子之疾 與兄子之疾.... (0) | 2017.07.06 |
여수..2 (0) | 2017.06.29 |
여수 1박2일 (0) | 2017.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