較事.................일봉암장......... 較事大小 其弊爲枉尺直尋之病 ----일의 크고 작은 것을 비교하면 그 폐단은 작은 것을 굽혀서 큰 것 을 이루는 것과 같다. ***교(較)-헤아려 비교함. ***왕척직심(枉尺直尋)-심은 여덟자<尺>, 즉 한 자를 굽혀 여덟자를 편다는 것. 작은 일을 굽혀서 큰 일을 한다는 뜻인데 맹자는 비록 한 .. 근사록 2018.07.18
人以料事... 人以料事爲明 便駸駸入逆詐億不信去也 ----사람이 일을 미리 잘 헤아리는 것을 밝다고 한다면, 급하게 서들 러서 속임을 맞이하게 되고 남에게서 믿음 얻지 못할 것이라는 억 측으로 들어가게 된다. ***요사(料事)-미지의 일을 미리 헤아리는 것. ***침침(駸駸)-급하게 나아가는 모양. ***사(.. 근사록 2018.07.09
人之過也... 人之過也 各於其類 君子常失於厚 小人常失於薄 君子過於愛 小人過於忍 ---사람의 과실은 각기 동류에 따라 다르다. 군자는 항상 두터운데서 잃고 소인은 항상 박한 데서 잃으며, 군자는사랑함이 지나치고 소인은 잔인함이 지나치다. ***인(忍)-잔인한 것.곧 자(慈)와애(愛)의 반대 개념) 근사록 2018.07.01
人有慾... (신월동 국과수 앞 초애삼계탕) 人有慾則無剛 剛則不屈於慾 ----사람이 욕심이 있으면 강하지 않을 것이며, 강하면 욕심에 굴복 하지 않는다. ***인유욕즉무강(人有慾則無剛)-<논어 공야장 편에 말하기를"정(棖) 은 욕심이 많은 사람인데 어찌 그를 강하다 할 것인가(棖也慾 焉 得剛)"라는.. 근사록 2018.06.26
男女... 男女有尊卑之序 夫夫有倡隨之理 此常理也 若徇貞肆欲 唯說是 動 男牽欲而失其剛 婦紐說而忘其順 則凶而無所利矣 ---남녀는 높고 낮음의 질서가 있고 부부는 부르면 여기에 따르는 도리가 있으니, 이는 당연한 이치다. 만약 정과 욕망에 따라하 고 싶은 대로 하여 오직 즐거운 대로만 행.. 근사록 2018.06.23
大率... 大率以說而동 安有不失正者 ----대체로 기쁜 대로만 행동한다면 어찌 바른 도를 잃지 않는 자가 있겠는가? ***대솔(大率)-대체로 ***열(說)-열(悅)과 통하니 기뻐한다는 뜻. ***안(安)-하(何)와 같은 뜻. 어찌. 근사록 2018.06.19
聖人爲戒.. 聖人爲戒 必於方盛之時 方其盛而不紙戒 固紐安富則驕侈生 樂舒肆 則綱紀壞 忘禍亂則釁孼萌 是以浸淫 不知亂之至也 ----성인(聖人)이 경계하는 것은 반드시 일이 성할 때다. 그 성할 때 경계할 줄 모르고 편안함과 부유함에 익숙해져 교만과 사치가 생 긴다. 마음대로 하여 즐기면 기강이.. 근사록 2018.06.10
伊川先生... 伊川先生曰 德善日積 則福祿日臻 德踰於祿 則雖盛而非滿 自古隆盛 未有不失道而喪敗者也 ----이천선생이 말하기를"덕과 선을 날마다 쌓으면 곧 복록이 이르며 덕이 녹(祿)보다 지나치면 비록 융성해도 넘치지 않을 것이다. 옛부터 세력이 융성한 것은 도(道)를 잃지 않고 패망한 것이 없.. 근사록 2018.06.07
古之小兒..... 古之小兒 便能敬事 長者與祉提擕 則兩手捲長者之手 問之 掩求而對 介稍不敬事 便不忠申 故敎小兒 且先安詳恭敬 ----옛날의 어린이는 공경하는 일을 잘하였다. 어른이 손을 잡고 인도 하면 두 손으로 어른의 손을 받들었으며, 무엇을 믈으면 입을 가리 고 대답하였다. 대개 조금이라도 공.. 근사록 2018.06.03
橫渠先生... 橫渠先生曰 恭敬撙節退讓以明禮 仁祉至也 愛道之極也 己不勉明 則人無從倡 道無從弘 敎無從成矣 ----횡거선생이 말하기를"공경,준절,퇴양으로 예(禮)를 밝히는 것은 인(仁)에 이르는 것이며, 사랑하는 도의 극치다. 자신이 예를 밝 히고 노력하지 않는다면 사람들이 따라서 제창할 수도 .. 근사록 2018.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