孔子曰 益者三樂요 損者三樂이니, 樂節禮樂하며 樂道人之善하며 樂多賢友하면 益倚요, 樂驕樂하며 樂佚遊하며 樂宴樂이면 損矣니라. ----공자가 말씀하셨다. 유익한 것이 세 가지 좋아함이요, 손해되는 것이 세 가지 좋아함이니, 예악을 알맞게 조절함을 좋아하며, 남의 선을 말하기를 좋아하며,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면 유익 함이요,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며, 편안하게 놂을 좋아하며, 주색에 빠져 즐김을 좋아하면 손해이니라. ***절(節)은 그(禮의) 제도와 (樂의)성용(聲容)의 절도를 분별함을 이른다.교락(驕樂)이면 오만하고 방자해져서 절도를 알지 못하고, 일유(馹遊)면 게을러져서 선을 듣기 싫어하고, 연락(宴樂)이면 음란에 빠져서 소인을 가까이하니, 세 가지의 손해됨과 유익함이 또한 서로 반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