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39

問仁於孔子..........

子張이 問仁於孔子하대 孔子曰, 能行五者於天下 爲仁矣니라. 請問之하대 曰, 恭寬信敏惠니 恭則不侮 하고 寬則得衆하고 信則人任焉하고 敏則有功하고 惠則足利使人이니라. ----자장이 인(仁)을 공자께 물었는데, 공자가 말씀하셨다. 능히 다섯 가지를 천하에 행하면 인이 되느니라. 이를 청하여 물었는데 말씀하셨다. 공,관,신,민,혜니, 공손하면 업신 여기지지 아니하고, 너그러우면 뭇사람을 얻고, 미더우면 남이 의지하고, 민첩하면 공이 있고, 은혜로우면 써 남을 부리기에 족하리라. ***侮(모,업신여길모,업신여기다.경멸함,참고 견디다.) ***이 다섯 가지를 행하면 마음이 보존되고 그리고 이치가 얻어진다.(行是五者면 則心有而理得矣라)

논어 2020.08.02

見善如不及...................

孔子曰 見善如不及하며,見不善如探湯을 吾見其人矣요 吾聞其語矣로라. 隱居以求其志하며 行義以達其道를 吾聞其語矣요 未見其人也로라. ----공자가 말씀하셨다. 착함을 보면 미치지 못함과 같이하며, 착하지 아니함을 보면 끊는 물을 더듬음과 같이하며, 내가 그 말을 들었도다. 은거하여 써 그 뜻을 구하며, 의를 행하여 써 그 도를 이루었음을, 내가 그 말을 들었고, 아직 그런 사람 을 보지 못하였노라. ***구기지(求其志)는 그 깨달은 바의 도를 지킴이요. 달기도(達其道)는 그 구하는 바의 뜻을 행함이다. **************** 유선대 채송화향기*********************

논어 2020.07.24

君子有九思.............

孔子曰 君子有九思하니 視思明하며 聽思聰하며 色思溫하며 貌思恭하며 言思忠하며 事思敬하며 疑思問하며 忿思難하며 見得思義니라. ----공자가 말씀하셨다. 군자에게 아홉 가지 생각함이 있으니, 봄은 밝음을 생각하며, 들음은 귀밝음을 생각하며, 얼굴빛은 온화함을 생각하며, 모양은 공손함을 생각하며, 말은 충신함을 생각하며, 일은 공경함을을 생각하며, 의심은 물음을 생각하며, 성냄은 어려움을 생각하며, 이득을 보면 의를 생각함이니라. ***봄에 가리워지는 바가 없으면 보지 못함이 없고, 들음에 막히는 바가 없으면 귀밝음에 듣지 못함이 없다. 색은 얼굴에 나타난 것이고, 모(貌)는 몸을 들어서 말함이다. 물음을 생각하면 의문 이 쌓이지 아니하고, 어려움을 생각하면 분함을 반드시 경계 하고, 의를 생각하면 얻음이 구차..

논어 2020.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