窮神知化.......... .................................................... 窮神知化 乃養盛自至 ----신비의 극치에 이르고 변화를 알 수 있다는 것은 수양이 성하여 스스로 덕이 이르느 것이다. ................................................................... 근사록 2015.07.29
橫渠先生曰................. 橫渠先生曰 精義入神 事豫吾內 求利吾外也 利用安身 素利吾外 致養吾內也 ---횡거 선생이 말하기를 의리를 정밀히 연구하여 그 극치의 경지로 들어간다는 것은 사리(事理)가 마음속에 서고 외형을 이롭게 하는 것을 구하는 것이다. ***정의입신(精義入神)-의리를 정하게 하여 신비의 경지.. 근사록 2015.07.25
博學之.... 博學之 審問之 愼思之 明辨之 篤行之 五者廢其一 非學也 ---널리 배우고 자세히 묻고 신중히 생각하고 명확히 분별하고 성실하게 행해야 한다. 이 다섯 가지 중에 하나라도 하지 않으면 학문이 아니다. ***심문(審問)-의문이 있으면 이해 할 수 있을때까지 질문하는 것 근사록 2015.07.22
弘而不毅...................... 弘而不毅 則無規矩 毅而不弘 則隘陋 ---뜻은 넓어도 굳세지 않으면 규율이 없고 굳세도 넓지 않으면 소견이 좁아서 고루해진다. ***무규구(無規矩)-규는 콤파스,구는 곡척(曲尺)을 말하니 법도 습관 을 말함. 즉 규율이 없는 것 ***애루(隘陋)- 매우 좁은 것, 소견이 좁아서 고루한 것을 말함... 근사록 2015.07.16
君子.... 君子之學必日新 日新者日進也 不日新者必日退 未有不進而不退者 惟聖人之道無所進退 以其所造者極也 ----군자의 학문은 반드시 하루를 새롭게 한다. 하루를 새롭게 함은 날마다 진보하는 것이다. 날마다 진보하지 않는 것은 반드시 날마다 퇴보한다. 진보하지도 않고 퇴보하지도 않는.. 근사록 2015.07.11
한라산철쭉5 仁者先難而後獲 有爲而作 皆先獲也 古人唯知爲仁而已 今人 皆先獲也 ----어진 이는 어려운 일을 피하지 않고 먼저 실행하여 얻음을 뒤에 한다. 효과를 바라고 하는 것은 모두 얻음을 먼저 하려는 것이다. 옛사람은 오직 인(仁)을 행한다는 것만을 알았을 뿐이나 지금의 사람들은 모두 효.. 근사록 2015.07.01
한라산철쭉4 涵養須用敬 進學則在致知 ----마음 기르는 데는 반드시 경(敬)으로서 해야 하며 학문으로 나아가는 데는 치지(致知)가 필요하다. ***함양(涵養)-이성(이성)을 지니고 남과 다투는 욕심 같은 것을 없이하는 것. 즉 그러한 마음을 기르는 것 ***치지(致知)-알게 된 지식을 끊임없이 완성시켜 가.. 근사록 2015.06.29
한라산철쭉3 知之必好之 好之必求之 求之必得之 故人此箇學是從身事 ----알면 반드시 좋아질 것이고 좋아지면 반드시 구할 것이며 구하면 반드시 얻을 것이다. 옛사람들은 이러한 학문을 한평생의 일로 삼았다. ........................................... 근사록 2015.06.26
한라산철쭉2 忠恕所以公平 造德則自忠恕 其致則公平 --충서(忠恕)는 공평(公平)의 근본이다. 덕에 이르는 것은 충서로부터 시작되며 그 극치는 공평인 것이다. ***忠恕-충은 자기의 마음에 충실하는 것. 서는 자기의 마음을 미루어 남을 동정하거나 이해하는 것. ***치(致)-충서의 극치를 말하는 것. 근사록 2015.06.18
한라산철쭉1(어리목~윗세오름~영실) 弘而不毅 則難立 毅而不弘 則無以居之 ----뜻이 넓어도 굳세지 않으면 서기가 어렵고 의지가 강하더라도 뜻이 넓지 않으면 들어갈 수 없다. ***홍(弘)-뜻이 넓고 큰것 ***의(毅)-의지가 굳센 것.<논어>태백편에 말하기를 선비 도량이 넓고 의지가 굳세지 않으면 안된다. 그 소임은 중하고.. 근사록 2015.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