凡人才學... 凡人才學 便須知著力處 旣學 便須知得力處 ---사람이 배우기 시작할 때에는 모름지기 무엇을 위하여 노력해야 하는지를 알아야 하고 이미 배우고 있을 때에는 모름지기 노력한 결과를 알아야 한다. ***재학(才學)-재(才)는 겨우와 같음. 공부를 시작한 것. ***착력(著力)-활쏘기의 표적에 비.. 근사록 2015.06.09
大抵學................ 大抵學 不言而自得者 乃自得也 有安排布置者 皆非自得也 ----대체로 학문하는 데 있어서 말하지 않고 스스로 얻는 것이 곧 자득(自得)이다. 이것 저것을 해서 억지로 얻는 것은 자득이 아니다. ***불언(不言)-이것 저것이론을 펼치지 않는 것 ***안배포치(安排布置)-물(物)을 인위적으로 늘.. 근사록 2015.05.17
人之學........ 人之學不進 只是不勇 ----사람의 학문에 진보가 없는 것은 다만 뜻과 용기가 없기 때문이다. ***불용(不勇)-학문을 이루려고 하는 뜻과 기개가 없는 것 근사록 2015.05.09
장가계3 澥意一生 便是自棄自暴 ----게으른 마음이 한 번 생기면 곧 자기자포(自棄自暴)가 되는 것이다. ***해의(澥意)-게으른 마음 ***자기자포(自棄自暴)-이의 (仁義),예의(禮義)를 거역하고 떠나는 것 (맹자) 이루 상편에 말하기를 예의를 비난하는 것을 자포(自暴)라 하며 내 몸이 인과 의.. 근사록 2015.05.06
중국장가계2 根本須是先培壅 然後可立趨向也 趨向旣正 所造淺深 則由勉與不勉也 ----근본을 먼저 길러야 한다. 그런 다음에 나아갈 방향을 세울 수 있다. 나아가는 방향이 이미 바르면 도에 이르는 곳의 얕고 깊음 은 노력하느냐 노력하지 않느냐에 달린 것이다. ***배옹(培壅)-심어 가꾸는 것. 심신을 .. 근사록 2015.05.02
중국장가계 論學便要明理 論治便須識體 ----학문을 논할 때에는 이치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고 정치를 논할 때에는 정치의 근본을 알아야 한다. ***체(體)-정치의 근본 이념. 주자는 말하기를 주현(州縣)을 다스릴 때에는 도둑을 없애고 농상(農桑)을 권하며 조정에 있어서는 언론을 열어주고 하정(下情.. 근사록 2015.04.28
明道先生曰......... ................................................................. 明道先生曰 道之浩浩 何處下手 惟立誠纔有可居之處 有可居之處 則可以修業也 終日乾乾 大小大事 却只是忠信所以進德 爲實下手處 修辭立其誠 爲實修業處 --명도선생이 말하기를 '도는 넓고 커서 어느 곳부터 손을 대야 할 것인가? .. 근사록 2015.04.21
覬足.......... 覬足 下由經以求道 勉之又勉 異日見卓爾有立於前 然後不知手之舞足 之蹈 不加勉而不能自止矣 ----그대에게 바라는 바는 경서에 의거하여 도를 구하고 이것을 힘쓰고 또 힘쓰라. 그러면 뒷날에 뚜럿이 도가 앞에 우뚝 선 것을 보게 될 것이니 기뻐서 자기도 모르게 손발이 춤을 출 것이다.. 근사록 2015.04.15
今之治經者 今之治經者 亦衆矣 然而買櫝還珠之蔽 人人皆是 經所以載道也 誦其言辭 解其訓詁 而不及道 乃無用之糟粕耳 ----오늘날 경서를 학습하는 자 또한 많다. 그러나 상자만을 사고 구슬을 돌려보내는 것 같은 어리석은 폐단이 있다.사람마다 모두 이와 같다. 경서는 도를 담은 것이다. 그 말이.. 근사록 2015.04.08
伊川先生.... 伊川先生謂方道輔曰 聖人之道 坦如大路 學者病不得其門耳 得其門 無遠之不可到也 求入其門不由於經乎 ----이천 선생이 방도보(方道輔)에게 말하기를 성인의 도는 평탄해서 마치 큰 길과 같은데 배우는 자들은 그 문에 들어가지 못하는 것을 근심할 뿐이다. 그 문을 들어서기만 하면 멀.. 근사록 201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