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39

自暴者는...

孟子曰 自暴者는 不可與有信야요 自棄者는 不可與有爲也니 言非禮義를 謂之自暴也요, 吾身不能居仁由義를 謂之自棄也 니라. 仁은 人之安宅也요 義는 人之正路也니 曠安宅而弗居하며 舍正路而不由하나니 哀哉로다. ----맹자가 말씀하였다. 스스로 학대하는 자는 더불어 말함이 있음이 가하지 아니하고, 스스로 버리는 자는 더불어 행함이 있음이 가하지 아니하니, 말이 禮義(예의)를 헐뜯음을 이를 自暴(자포)라 이르고, 나의 몸이 仁에 있어 義를 따르지 못함을 이를 自棄(자기)라 이르 니라. 仁은 사람의 편안한 집이요, 義는 사람의 (행해야 할) 바른 길이니, 편안한 집을 비워두고서 살지 아니하며, 바른 길을 버리고서 따르지 아니하니, 슬프도다. ***舍(사)-집사,버리다. 暴(포)-학대하다. 非(비)-헐뜯다. 曠(광)-비우다,..

맹자 2021.10.06

夫人必自侮然後...

夫人必自侮然後에 人侮之하며, 家必自毁而後에 人毁之하며 國必自伐而後에 人伐之하나니라. 太甲에 曰 天作孼은 猶可違 어니와, 自作孼은 不可活이라하니, 此之謂也니라. ----(맹자의 말씀이 이어진다.) 대저 사람은 반드시 스스로 (자기 자신을)업신여긴 그러한 이후에 남들이 이(업신여긴 자기)를 업신여기며, 집은 반드시 스스로 무너뜨린 그리고 난 뒤에 남들이 이를 무너뜨리며, 나라는 반드시 스스로 친 그리고 난 뒤에 남들이 이룰 치느리라. (서경의) 태갑에 이르기를 하늘이 만든 재앙은 오히려 가히 피할 수 있지마는 스스로가 만든 재앙은(피하여 무사히) 살기가 가하지 아니하다 라고 하였으니, 이의 이름이니라. ***夫(부)-대저. 侮(모)-업신여기다. 毁(훼)-무너뜨리다. 孼(얼)-서자얼, 첩의 소생,재앙,움이트다..

맹자 2021.09.25

不仁者...

孟子曰 不仁者는 可與言哉아? 安其危而利其菑하며 樂其所以亡者하나니 不仁而可與言이면 則何亡國敗 家之有리오? 有孺子歌曰 滄浪之水淸兮어든 可以濯 我纓이요, 滄浪之水濁兮어든 可以濯我足이라하야늘. 孔子曰 小子아 聽之하라, 淸斯濯纓이요 濁斯濯足矣 로소니 自取之也라하시니라. ----맹자가 말씀하였다. 어질지 아니한 사람은 가히 더불어 말할 수 있겠느냐? 그 위태로움을 편안하게 여기면서 그 재앙을 이롭게 여기며,(이같이 생각하는 바가 뒤바뀌어 있기에, 자기 자신이 망하는 길 도리어)그 망하는 까닭의 것을 즐기니,(만일0 어질지 아니한데도(자기를 반성할 수 있는 자이어서)가히 더불어 말할 수 있다면, 어찌 나라를 망하게 하고 집을 망쳐버리는 일, 이가 있겠느냐? 어린이가 있어서 노래하여 말하기를 滄浪(창랑)의 물이 맑거든..

맹자 2021.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