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39

恭而無禮............북한산인수봉 건양길...

子曰 恭而無禮則勞하고 愼而無禮則시하고 勇而無禮則亂하고 直而無禮則絞니라 ---공자가 말씀하였다. 공손하고서 예가 없으면 수고롭고, 삼가고서 예가 없으면 두려워하고, 용감하고서 예가 없으면 난폭하고, 정직하고서 예가 없으면 박절하니라. ***艸+思=시는 ? 諰(두려워할시)나 犬+思(두려워할시)? 시는 두려워하는 모양이고, 絞(교,목맬교,염습효,검누른명주교)는 급하고 박절하다(용서하는 관대함이 없다)이다.

논어 2019.11.08

述而不作......아산 공세리성당2..

子曰 述而不作하며,信而好古를 竊比於我老彭하노라. ----공자가 말씀하셨다. 전하고서 짓지 아니하며,믿고서 옛것을 좋아함을 몰래 나의 노팽에게 견주노라. ****술은 옛것을 전할 뿐이고, 작은 곧 처음으로 시작하다 이다. 때문에 작은성인이 아니면 능히 하지 못하고, 그러나 술은 곧 현자도 가히 미칠 수 있다.절비는 이를 높이는 말이고, 아는 이를 친근하게 하는 말이다. 노팽은 상나라의 어진 대부이니 대대례에 나타나니,아마도 옛것을 믿어서 전 술한 사람이니라. **공자는 시경과 서경을 刪削산삭(필요없는 글자나 구절을 지워버림) 하였고, 예악을 바로 잡았으며, 주역을 도왔고, 춘추를 엮었으니 모두 선왕의 옛것을 전함이나, 그러나 아직 일찍이 지은 바가 있지 아니하였다.

논어 2019.09.06